방명록
- 전자정부프레임워크 환경 세팅2024년 06월 13일에 업로드 된 글입니다.작성자: gamzah반응형
오늘은 전자정부프레임워크 환경세팅에 대하여 정리를 해보려고한다. 회사에 입사해서 제일 크게 느낀 것 들중 하나가
환경세팅부분인데 환경세팅은 삽질도 많이하고 꽤 세팅 해보면서 느낀점은,,,,,,,, 해도 해도 어렵다 ㅠ 그리고 주기적으로 정리를해서 한번 더 보지않으면 까먹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래서 나중에 참고해서 볼 수 있게 처음으로 환경세팅에 대하여 글을 써본다 ! ! !
일단 나는 내부망 pc 기준으로 적을 것이다 만약 외부망 pc로 환경세팅을 한다면 아래 방법대로 환경세팅하다 몇 군데 빼먹어도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어서 자동으로 필요한 파일들을 다운 받아서 맞춰 줄 것이다
( 엄청 자세하게 설명할거라 그 ~ 대로 따라하면 된다 ! )
- 외부망 PC( 노트북 ) 에서 package explorer 에서 우클릭 하여 new에서 eGovFrame Web Project 선택 이후 프로젝트 명 ,group id 명 같게 하고 next 누르고 generate example 체크박스 체크하여 기본 샘플기능 추가 후 프로젝트를 생성한다,
- 프로젝트 생성 이 후 생성된 프로젝트 우클릭 후 new에서 아래쪽에 eGovFrame Common Component 클릭하여 공통 컴포넌트 추가 기능 체크박스는 기본으로 공통체크 (공통체크하면 필수 기능 자동체크됨) 이 후 next 누르고 select table creation type 생성하지 않음으로 체크 후 공통 컴포넌트 적용
- 이 후 프로젝트를 한 번 실행시켜 실행환경에 필요한 maven파일들을 다운받아야한다. 내부망에 옮겨서 진행 할 거와 같이 외부망에서 먼저 공통컴포넌트를 적용시켜 실행 성공한 프로젝트를 익스포트하여 꺼내와야한다. 따라서 내부망에서 톰캣, 필요한 db드라이버 , db 기본적인 환경은 세팅 후 프로젝트를 실행해야 한다.
- 외부망에서 공통컴포넌트를 적용한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돌아가는 것을 확인 한 후 이제 프로젝트를 내부망으로 옮겨야하는데 프로젝트를 export하는 방법은 프로젝트 우클릭 > Export > General > Archive File 을 선택하여 해당 프로젝트를 선택 후 원하는 경로에 저장하면 된다.
- 이 후 외부망에서 저장한 프로젝트를 내부망으로 들고와서 내부망에 import 해줘야한다. import 하는 방법은 package explorer 에서 우클릭하여 import 클릭 이 후 general > Existing Projets into Workspace 선택 이후 위에서 zip 파일로 프로젝트를 가져왔음으로 Select archive file 을 선택해주고 가져온 파일을 지정해준다 이후 finsh를 누르면 프로젝트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.
- 이까지오면 기본적으로 프로젝트를 옮기는것은 된것이고 이제 실행을 시켜야한다. 기본적으로 공통서버에 DB는 다 구축되어있다는 가정하에 먼저 src/main/resources/egovframework/egovProps/prg/globals.properties 에서 Globals.Ostype, Globals.DbType, 사용하는 DB정보를 공통서버에 구축되어있는 DB환경에 맞게 바꾸어준다. 이후 src/main/resources/egovframework/spring/com/idgn/context-datasource.xml 에서 해당 db의 기존 세팅을 <property name = "password" value="#{egovEnvCryptoService.getPassword()}"/> 에서 <property name = "password" value="${Globals.oracle.Password}"/> 로 바꾸어주어 암호화를 풀어준다.
- 여기까지 세팅을 해주었으면 Data Source Explorer 으로 들어가서 사용할 DB에 맞는 드라이버를 세팅해줘야한다 . Data Source Explorer 에서 DataBase Connections 우클릭하여 new 선택 후 사용하는 DB에 맞는 profile Type을 선택하고 맨위 드라이버 선택목록에서 새로운 드라이버 정의하기 아이콘을 누른 후 먼저 사용하는 DB의 System Version 을 확인 하고 선택을 해준다. 그다음 드라이버에 사용한 jar파일을 선택해주고 ( 외부망에서 프로젝트 가져올 떄 같이 가져오는거 추천 ) Properties 에서 globals.properties 에서 설정해준거와 같이 기존 DB의 설정을 정확히 입력해주고 OK 를 누른다 . 정상적으로 Driver 가 생성되었다면 다시 Specify a Driver and Connection Details 창에서 드라이버 선택 목록을 눌러보면 방금 만들었던 드라이버가 목록에 있는걸 확인가능하다. 확인 후 목록을 선택하고 드라이버에서 설정한 Properties 와 같이 입력을 해주고 정상적으로 맞게 입력하였다면 Test Connection 으로 핑테스시 성공했다고 뜬다 . 여기서 주의할점은 Specify a Driver and Connection Details, 드라이버 생성 화면에서 둘 중 하나라도 Properties를 다르게 입력하거나 잘못 입력하면 핑테스트에서 실패했다고 뜬다 이 점 주의하자!
- 이후 DB 연동까지 마무리 되었으면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해선 기본적으로 전자정부를 실행하기위한 기본 테이블을 생성해야 프로젝트가 실행이 되는데 이 때 기본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하여 src/script/ddl/사용하는 DB 를 선택한 후 해당 db의 sql을 모두 선택한 후 우클릭하여 Execute SQL Files 를 누르고 Database server type(버전 잘 확인), Connection profile name(만든 DB 드라이버), Database name을 선택하고 OK를 누르면 연결된 DB에 테이블이 생성되는걸 확인 가능하다. 테이블이 없으면 전자정부 실행이 안됨으로 내부망에서 공동컴포넌트 적용된 프로젝트 진행시 필수로 확인해야하는 부분이다.
- 마지막으로 server에서 해당 톰캣의 server.xml 에서 맨마지막부분에 path를 "/" 로 바꾸어주고 실행하면 프로젝트가 실행이 잘 되는것을 확인가능하다
- 그리고 혹시 모르니 위에 세팅이 다 끝나면 프로젝트 클린 , 톰캣 클린, 메이븐 업데이트를 하고 돌리는걸 추천한다. ( 참고로 깃에서 최초로 소스 내려 받을시에는 필수로 프로젝트 클린 ,톰캣 클린, 메이븐 업데이트를 해주고 server.xml을 수정해주어야 실행된다 )
다시한번 말하지만 위 세팅은 내부망 (인터넷 연결 X) 환경 세팅기준이라 인터넷이 연결된 상태라면 좀 더 수월하게 가능할거다! 이제 회사에 입사해서 2번째 프로젝트를 거의 마무리하고 프로젝트 배포 준비를 하고있다 . 처음 입사했을 때와 비교하여 아직 까지도 부족한점이 많지만 성장한 부분도 많은거같다 ! 이번에 개인 포폴용으로 만들 프로젝트는 springboot를 사용하여 만들예정인데 이것도 환경세팅이 마무리되면 정리해서 기록하여 까먹지 않도록 해야겠다 !
반응형다음글이 없습니다.이전글이 없습니다.댓글